
고객사 개요
고객사명 : 중소병원 연합의료법인
도입 범위 : 5개 병원 / 월 4,000건 이상 진단서 및 보험청구 건
사용 부서 : 의무기록실, 원무팀, 진료지원센터
도입 범위 : 5개 병원 / 월 4,000건 이상 진단서 및 보험청구 건
사용 부서 : 의무기록실, 원무팀, 진료지원센터
프로젝트 상세정보
고객의 고민
“의료 기록을 하나하나 눈으로 읽고 보험 코드 입력하고… 하루 종일 반복이에요. 자동화가 꼭 필요했습니다.”
- 보험청구 서류 작성에 시간 소요 (의료기록 일일이 확인)
- 진단서 내용이 길고 복잡해 요약 정리가 어렵고 불일치 다발
- 질병코드(KCD), 보험코드(EDI) 등 전문화된 입력 항목 많음
- 원무팀 인력 부족 및 수기 오류 발생
구축 솔루션
“진료 기록을 읽고 자동으로 질병코드, 보험 코드, 요약문까지 만들어드립니다.”
항목 | 구성 설명 |
---|---|
진료기록 분석 | 문진, 진단내용, 의사 소견 등 자유서술형 텍스트 자동 처리 |
질병코드 자동 추출 | KCD-7, ICD 코드 자동 매핑 (AI 모델 기반) |
보험청구 코드 자동화 | 수술·진료행위 → EDI 코드 자동 추출 |
진단서 요약 자동 작성 | 환자 중심 요약 문구 자동 생성, 담당의 확인 프로세스 포함 |
EMR 연동 | 병원 전자의무기록(EMR) 시스템과 직접 연계 |
도입 기술 요약
- NLP 모델: 한국어 의료 문서 특화 AI 분석기 (BERT 기반)
- 의료코드 DB: KCD·ICD·EDI 공식 코드 사전 기반 연동
- 보안 처리: 의료정보 비식별화 + 접근 로그 기록 + 로컬서버 설치형 가능
도입 효과
항목 | 도입 전 | 도입 후 | 개선폭 |
---|---|---|---|
코드 입력 시간 | 1건당 6~10분 | 1~2분 | ▼최대 80% 절감 |
입력 오류율 | 5% 이상 | 1% 이하 | ▲ 정확도 상승 |
리포트 작성 | 담당자 수작업 정리 | 자동 요약 및 검토만 수행 | ▲ 업무 시간 절감 |
고객 피드백
“진료기록을 정리하고 코드 매핑하는 데 쓰던 시간이 대폭 줄었습니다. 직원 피로도도 확 줄었고요.”
의료정보팀 팀장 박○○
요약 카드
- 고객사: 중소병원 네트워크
- 문제: 진료기록 수기 정리, 코드 입력 부담
- 도입 기술: 진단서 요약 + KCD/EDI 코드 자동 추출
- 성과: 코드입력 시간 80% 단축, 정확도 개선
저작권정보
1. 콘텐츠의 저작권은 쿠키(www.coukey.co.kr)에 있으며, 사용권한은 1인 1카피입니다.
2.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는 본인(본인회사)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원본 또는 수정 후 무단전제,무단배포,무단판매,무단 공유할 수 없습니다.
4. 웹상에서 배포는 상업,비상업적 목적을 불문하고, 손해배상등 가중처벌됩니다.
2.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는 본인(본인회사)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원본 또는 수정 후 무단전제,무단배포,무단판매,무단 공유할 수 없습니다.
4. 웹상에서 배포는 상업,비상업적 목적을 불문하고, 손해배상등 가중처벌됩니다.